Muyonggak (無用閣)
〈無用閣〉 | 2024 | 한지에 초묵 | 400×150cm | 초서
세 글자의 거대한 초서 작품. 무용각은 건축과 서예가 하나의 기세로 만나는 작업이다. 세로 4미터, 가로 1.5미터의 대형 한지(삼겹 배접)에 오직 몸의 움직임과 붓의 기세로 초서 세 글자를 그려냈으며 이 모든 제작 과정은 영상으로 기록되었다.
이 작업은 단순 퍼포먼스가 아니다. 기존의 퍼포먼스가 일회성과 상징에 머무른다면〈無用閣〉은 실제 건축물에 설치될 편액을 완성하는 전 과정 그 자체이다.
찢어지기 쉬운 화선지 대신, 한지를 삼겹으로 배접하고
먹장인에게 의뢰해 특별히 제작한 초묵을 사용하며
필장에게 주문 제작한 대형 붓을 처음으로 사용하는 실험을 거쳐
최종 작품을 양평 무용각 건축 정면에 편액으로 설치했다.
본 작품의 원본은 따로 액자화하여, 현재 소전문화재단 도서관에 설치되어 있다.
〈Muyonggak (無用閣)〉 | 2024 | Ink on Hanji | 400 × 150 cm | Cursive Script
The monumental calligraphy work Muyonggak (無用閣) brings together the body, ink, and architecture into a single gesture. Spanning 4 meters in height and 1.5 meters in width, the three characters were written in cursive script on triple-layered Hanji paper using a specially commissioned oversized brush and deeply aged ink prepared by a traditional ink master.
Unlike typical calligraphy performances that rely on fabric for durability, this project was not a fleeting gesture but the creation of a real inscription destined for permanent installation on the facade of Muyonggak, a building located in Yangpyeong, Korea. The entire process—from preparation to completion—was thoroughly documented on film.
The original framed work is now installed at the Sojeon Cultural Foundation Library, extending the piece into another architectural space.
